반응형
문서 작업 중에 슬러시(/)가 아닌 역슬러시(\)를 입력해야 하는데 역슬래시 대신
₩ 가 입력되어 고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남긴다.
\ 입력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반응형
첫 번째 방법, ENTER키 위에 위치한 ₩를 누른다.
/(슬러시) 가 아닌 \(역슬러시)는 enter키 바로 위 원화표시와 함께 있다(아래 사진 참고).

원화표시를 누르면 \(역슬러시)가 입력되고,
SHIFT와 함께 누르면 |(수직선)이 입력된다.
키보드에 따라 역슬래시인 \ 와 ₩ 이 모두 붙어있는 경우가 있지만,
최근에는 두 기호를 동시에 붙여 둘이 같다는 것을 표시하기도 한다.
문자 인코딩 차이에서, 원화 기호와 역슬래시가 동일한 코드 포인트,
(ASCII 코드 92) 이기 때문에, 인코딩의 차이에 따라 역슬래시와 원화 기호가 다르게 표시되는 것이다.
하지만 코드가 같기 때문에, 둘이 똑같이 써도 된다.
뭐, 그냥 써도 되지만 구태여 역슬래시인 \ 을 쓰고 싶다면 아래 글 또한 읽어보는 게 좋겠다.
반응형
두 번째 방법, ㄱ을 입력한 후 키보드 한자 입력키를 누른다.
ㄱ+한자키
를 입력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특수문자표가 나오는데 아래로 스크롤 하면 역슬러시(\)를 선택 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를 입력하는 방법은 2가지고 입력키는 다음과 같다.
- 키보드 ENTER키 바로 위에 위치한 [₩] 입력
- [ㄱ]+[한자] 차례로 입력 후 아래로 스크롤 해서 \ 선택
\(역슬러시) 입력 방법을 찾던 분에게 이해와 함께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반응형